일단 2011년 이후로 최고의 명 장면 이라면 바로 Faker선수와 Ryu선수의 제드 vs 제드 대결 아니겠습니까
Faker Zed vs Ryu Zed, KR LOL Summer 2013
타워를 공격 하던 페이커 선수가 류선수의 제드에 e스킬 한방 평타 한방 타워한방을 맞고
몰락한 왕의 검 엑티브를 맞으면서 피가 30퍼대로 떨어지죠
그다음 페이커 선수도 바로 몰락한 왕의검 엑티브를 사용해 류선수의 제드 속도를 늦춰 줍니다
그 이후의 공방은 화면으로 보면서도 모르겠군요 -0-
0.5배속으로 재생한게 유튜브에 있더라구요 한번 봅시다
페이커 선수의 제드가 궁을 활용 하자 류선수도 바로 궁을 활용하죠 페이커선수는 바로 표식을 수은장식띠로 풀어버립니다
그리고 상대방의 q스킬을 예측해서 자신의 q스킬은 맞추고 점화를 사용한후 왼쪽으로 플래시를 씁니다
류선수는 페이커선수의 예측대로 q스킬을 사용했고 빗나가게 되죠
류선수도 플래시를 사용해 페이커 선수를 추격하자 페이커 선수는 w스킬을 사용후 도망가면서
e스킬을 활용하여 류선수를 제압합니다
0.5배속으로 보면서 설명을 해도 잘설명이 안되는플레이를 실제 게임에서 해냈군요 롤역사상 최고의 장면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다음으로는 역시 2013년에 IEM 카토비체에서 있었던경기죠
xPeke backdoor vs. SK Gaming (Intel Extreme Masters Katowice)
한번에 2억제기가 날아가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3억제기를 부시려고 무리를 하던 sk게이밍의 이즈리얼과 엘리스가 죽게됩니다
역전 기회를 잡은 프나틱은 미드를 압박합니다 쌍둥이 타워가 날아가고 넥서스만 남게 됩니다
아슬아슬하게 부활한 이즈리얼과 울라프의 활약을 통해 프나틱 선수들을 몰아냅니다
이렇게 도망을 가던중 미드라이너 엑스페케의 카사딘이 10퍼센트 남은 채력으로
상대방의 본진으로 텔레포트를 타고가서 백도어를 시도합니다
울라프가 카사딘을 막으러 귀환하고 뒤를 쫓지만
뚜벅이의 한계를 보이죠 카사딘은 순간이동을 하고 무빙으로 울라프의 도끼를 피하면서 상대방 넥서스를 때립니다
마지막으로 초가스까지와서 방어를 해보지만 궁극기가 순간이동기술인 카사딘을 막지 못하고 결국 넥서스가 부서지면서
프나틱의 승리로 끝납니다
그 다음으로는 올스타전에서의 인섹킥이 있죠
미니언이 바루스와 리신사이에 도착하기 직전에 인섹선수는 음파를 적중시킨후
q를 두번사용해 날아가는 데미지가 적 바루스에 닫기도전에 빠른속도로 바루스뒤로 와드 방호후 궁극기를 시전
상대방 미드라이너 바루스를 한타 시작하자마자 삭제하고 시작하게 되는 장면이죠
우리나라에서는 이 장면 이전에도 인섹이 이런장면을 보여준적이 있었고 인섹킥이라고 부르긴했지만
전세계에서는 올스타전에서 이장면 이후로 리신의 택배 플레이는 모두 인섹킥으로 불리게 됩니다.
라이엇 공식 포스트에서도 인섹킥이라고 언급하게되면서 명사화 되었습니다
아래 내용은 2011년 작성된 기사를 기반으로 한 내용입니다
혹시나 못 본 분들을 위해 bump up 했다고 생각해 주세요.... 저는 9등영상과 1등영상만 올리겠습니다
아래 순위에 모든영상을 보고싶은분은 링크 클릭하세요
http://kotaku.com/5820907/the-10-best-moments-in-pro-gaming-history
10. Grubby vs Moon – Warcraft 3 - World eSports Games Semifinals – 2006 - Hangzhou, China
9. BoxeR vs YellOw – Starcraft: Brood War – 2004 – EVER OSL Semifinals – Seoul, Korea
오프닝부터 전설로 취급되던 스타리그 영상이죠 투신 박성준선수의 저동작 ㅋㅋㅋ 기억이 새록새록 나는군요
에버 온게임넷 스타리그 준결승경기죠 전설의 3연벙 경기...
저는 보면서 임요환 선수에게 화가 났었지만 프로니까 이기기 위해 어쩔 수 없었겠죠
홍진호 선수도 2번 연속 당했으면 선 스포닝풀 플레이를 할 법도 한데... 아쉬운 경기였습니다
이런 냉혹한 임요환 선수의 면도 역사상 최고의 e스포츠 플레이어라고 외국에서도 말하는 이유중 하나겠죠
8. Fnatic vs AgaiN – Counter-Strike 1.6 – World Cyber Games Finals - 2009 – Chengdu, China
7. Fatal1ty vs Vo0 – Painkiller - Cyberathlete Professional League World Tour Finals – 2005 – New York City, USA
6. Daigo "The Beast" Umehara vs Alex Valle – Street Fighter Alpha 3International Finals – 1998 – San Francisco
5. MC vs PuMa – Starcraft 2 – North American Star League Season 1 Finals - 2011 – Ontario, California
4. Team 3D vs Team Phreaks – Halo 2 – Major League GamingNational Championship Finals - 2005 – New York City
3. Coollervs Cypher – Quake Live – QuakeCon 2010 Finals – Dallas, Texas
2. Flash vs Jaedong – StarCraft: Brood War - Korean Air OSL 2 –2010 – Shanghai, China
1. Daigo Umehara vs Justin Wong – Street Fighter III: Third Strike – EVO World Championships Finals – 2004 – Pomona, California
1등은 다들 보셨을 텐데요 저는 볼때 마다 전율이 느껴진다고해야된다고 할까요 닭살 돋는 느낌이 드는데요
태어나서 지금까지 20여년간 게임에서 본 장면중 이보다 대단하다고 생각 하는것이 없다고 확신 할 수 있습니다
아마 제가 죽을 때까지 이런 장면은 다시 나오지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이라이트 영상부터 보시죠
EVO Moment #37 - Daigo(Ken) defeats Justin(Chun-li)
1틱이라고 표현해야겠죠 23초 부분에 보면 스치기만 해도 죽고 가드만 해도 죽는 채력이 되는 다이고 선수
여기서 스트리트 파이터 서드의 블로킹 시스템을 활용한 초인적인 장면이나오죠
상대방 저스틴 선수도 당연히 춘리의 연속형 공격인 필살기를 모두 블로킹 할수는 없다고 생각하고
마무리로 필살기를 사용합니다 그냥 레버를 뒤로하는 가드로하면 hp가 갉아 먹히면서 죽게되겠죠
하지만 상대방 매 타격마다 레버를 뒤방향이아니라 상대방 방향으로 움직이면 방어가 완벽하게되면서
가드데미지를 입지 않게 됩니다 이시스템을 활용해 춘리의 왼발공격 7방 오른발 공격 7방 마지막 왼발 하이킥까지 이어지는
필살기를 모두 블로킹합니다 특히 마지막 하이킥의 경우 자신이 상대방에게 넣어야할 데미지를 완벽하게 계산한 후
그냥 스탠딩 상태로 가드 했을 경우 자신의 콤보 데미지가 모자란 것을
저 상황에서 막으면서 판단한 후 점프 블로킹 그 이후 떨어지면서
점프 발차기 하단 발차기 승룡권 슈퍼 켄슬 필살기로 이어지는 콤보를 완벽하게 성공시키면서 상대를 마무리합니다
현장 관객들의 소리만 봐도 얼마나 대단한 장면인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저런 환호성 속에서 자신의 플레이를 완벽하게 저런 마이크로 컨트롤을 해냈다 정말 신이 따로 없군요
영상 처음나오는 말 The beast ... is UNLEASHED 괴물이 풀려났다...
... you had to be there 영상 마지막의 당신은 거기 있었어야 했다... 직접 봤다면 정말 평생 잊지 못할 장면 이었을 텐데...
이건 전체 경기 영상입니다
마지막으로 재미로 보는 e스포츠 역사상 경기중 최초의 부상자 고병재선수
웃으면 안되는데 아 엄청아플꺼 같은데 ㅋㅋㅋㅋ
추가로 헤드셋을 거꾸로쓴 지영훈선수의 영상까지 보시죠 ㅋㅋㅋ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블즈 아나키 스폰서 아프리카 프릭스 (0) | 2016.01.04 |
---|---|
페이커 연봉 50억? 연봉 루머 (0) | 2015.12.26 |
인섹 최인석 RNG로 이적 (해외 이적 소식) (0) | 2015.12.25 |
충격 ESC EVER 미드라이너 아테나 강하운 EDG로 이적 (0) | 2015.12.25 |
ESC EVER IEM COLOGNE 2015 우승 (0) | 2015.12.21 |